Future plans for stabilization

Kai Protocol
4 min readNov 10, 2021

--

Future plans for stabilization of kai Protocol

[한국어]

KAI 가격 안정화를 위해 꾸준히 바이백 펀드 수익화를 진행하면서 특정 가격 이하일때 비주기적으로 바이백 펀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주기적인 바이백 펀드 사용 목적은 안전한 가용 한도 내에서 KAI를 매수하고 락업하면서 시장 유통량을 줄이고 점진적으로 KAI 가격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바이백 펀드를 통한 가격 안정화 외 보다 확실한 KAI의 사용/소각처 마련을 위한 계획에 대해 안내 드립니다.

1차 방안 — 합성자산 수수료 활용

합성자산 서비스는 자체 생태계에서 구축한 첫번째 KAI 사용처 입니다.

아직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UI/UX 개선 등 많은 과제가 남았지만 이번 업데이트로 투자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편의 기능들이 추가되어 이전보다 많은 KAI가 사용될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합성자산 서비스 사용으로 발생하는 수수료로 KAI를 소각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합성자산 서비스 사용에 대한 수수료는 다음과 같으며 이 중 50%는 부스트 참여자에게 보상으로 분배되고 있습니다.

  • 발행 수수료: 0.5% > 0%(합성자산 장려를 위해 한시적으로 면제)
  • 거래 수수료: 0.2% > 0%(상동)
  • 상환 수수료: 1.5%

남은 50% 는 모두 KAI 소각에 사용하고 추가적인 소각 재원 확보를 위해 간편/수동 매도 시 소량의 수수료를 추가할 계획입니다.

2차 방안 - 외부 프로젝트 협업

Kai Auto, 머니마켓 프로젝트 등 다양한 디파이 서비스들의 지속적인 출시 계획에 대해서는 일전에 안내드렸습니다.

우선적인 풀 제공, 신규 프로젝트 토큰 분배의 가중치 등으로 KAI, sKAI 수요가 늘어나고 Kai Protocol 참여자의 유동성이 신규 프로젝트로 유입되는 등 상호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별도의 프로젝트의 토큰 이코노미에 KAI 소각 모델을 적용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기 때문에 외부 프로젝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지속적인 사용/소각처를 적극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협업 프로젝트의 생태계에서 KAI 사용 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협업 프로젝트와 분배하고 Kai Protocol로 배정되는 수수료는 전량 소각하는 사업 모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번외: sKAI 관련

위에서 언급된 방안들이 진행되고 신규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런칭한다면 KAI 가격은 안정화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시장 논리에 따른 확장/축소로 KAI가 추가 발행되고 신규 프로젝트 토큰들이 분배되면서 sKAI의 가치는 함께 높아질 것입니다.

바이백 펀드를 통한 sKAI 가격 안정화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바이백 펀드 보유 sKAI 락업

현재 바이백 펀드 수익화로 누적된 sKAI는 유통량 조절 및 가격 유지를 위해 당분간 컨트랙트 락업을 유지합니다. 향후 sKAI 단일 예치자에게 긴 기간에 걸쳐 선형 분배할 계획이며 시기와 분배 기간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sKAI 바이백

생태계와 참여자들 모두에게 가장 이상적인 sKAI 가격 안정화 방안으로 바이백 펀드의 스테이블 코인(KUSDT, KDAI, KUSDC 등) 보유량이 KAI 유통량 초과 시 초과분의 일정 비율만큼 sKAI를 바이백하는 모델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가격을 안정화시키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English]

In order to stabilize the KAI price, we continue to monetize the buyback fund, and use the buyback fund on an irregular basis when the KAI is below a certain price.

The purpose of using the aperiodic buyback fund is to purchase and lock up KAI within a safe available limit to reduce market circulation and gradually increase the KAI price.

In addition to price stabilization through the buyback fund, we will inform you about the plan for more reliable use/incineration of KAI.

1st Plan — Synthetics fee utilization

Synthetics service is the first use of KAI built in its own ecosystem.

There are still many tasks left, such as improving the intuitive and easy-to-understand UI/UX, but with this update, convenience features that can increase investment participation are added, and we expect that KAI will be used more than before.

We are preparing a plan to burn KAI with fees incurred from using synthetics services.

Currently, the fees for using the synthetic asset service are as follows, of which 50% is distributed to boost participants as compensation.

  • Mint fee: 0.5% > 0% (temporarily exempted to encourage synthetic assets)
  • Transaction Fee: 0.2% > 0% (Same as Same)
  • Repay fee: 1.5%

The remaining 50% will be all used for KAI incineration, and a small fee will be added for convenient/manual selling to secure additional incineration resources.

2nd plan - Collaboration with external projects

We have informed you about the continuous launch plans of various DeFi services such as Kai Auto and Money Market Project.

We expect mutual synergies such as increased demand for KAI and sKAI due to preferential pool provision and token distribution weight, and liquidity of Kai Protocol participants flowing into new projects.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KAI incineration model to the token economy of a separate project, we plan to actively increase its use/incinera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ternal projects.

We are preparing a business model in which the fee incurred when using KAI in the ecosystem of the collaborative project is distributed with the collaborative project, and all the fees allocated to the Kai Protocol are incinerated.

Extra: related to sKAI

If the above-mentioned measures are implemented and new projects are successfully launched, the KAI price will stabilize. Accordingly, as KAI is additionally issued and new project tokens are distributed through expansion/reduction according to market logic, the value of sKAI will increase together.

Regarding sKAI price stabilization through the buyback fund, the following measures are being considered.

sKAI lockup with buyback fund

sKAI, which is currently accumulating through buyback fund monetization, maintains contract lockup for the time being to control circulation and maintain price. In the future, we plan to distribute linearly over a long period to a single depositor of sKAI, and the timing and distribution period have not yet been determined.

sKAI buyback

As the most ideal sKAI price stabilization plan for both the ecosystem and participants, we are considering a model that buys back sKAI by a certain percentage of the excess when the stablecoin holdings of the buyback fund exceed the KAI circulation.

We will do our best to ensure that prices are stable and consistent through fast execution of plans.

고맙습니다.

- Kai Protocol : https://kaiprotocol.fi
- Official Telegram : https://t.me/kaiprotocol
- Official Telegram announcement : https://t.me/kaiprotocol_channel
- Medium: http://kaiprotocol.medium.com
- Twitter : https://twitter.com/Kai_Protocol
- Kai Protocol DOCs : https://docs.kaiprotocol.fi/kai-protocol/

고맙습니다.

--

--

No responses y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