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Protocol Roadmap 2021
안녕하세요. Kai Protocol 입니다.
Kai Protocol Team에서 준비하고 있는 2021년 로드맵에 대해 안내 드립니다.
2021년 준비하고 있는 핵심 목표는 3가지 입니다.
➢ Kai synthetics(합성 자산 서비스)
➢ Governance v1(거버넌스 기능)
➢ Cross-chain(체인 교차 지원)
핵심 목표들의 기본적인 서비스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발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으니 감안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Kai synthetics
KLAYswap의 유동성 공급, 스왑 서비스 이용을 위한 스테이블코인으로서의 역할 외 KAI의 사용성을 더 늘리고 그로 인해 sKAI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많은 고민 했습니다.
Lending, Game, Payment 등 많은 De-Fi 서비스들을 검토한 결과 전세계 많은 금융 상품들을 Klaytn 네트워크로 가져와서 KAI를 기반으로 동작하게 만드는 Synthetics(합성 자산) 서비스가 Kai Protocol Team 이 바라는 결과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1.Kai synthetics mint(카이 합성자산 발행)
Kai Protocol 홈페이지에서 KAI를 예치하면 KAI 수량과 가격을 토대로 담보 자산이 생성되며 가용한 담보 자산내에서 일정 비율만큼 Kai Protocol에서 제공되는 합성자산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합성자산의 발행은 실물상품 기초 자산의 가격을 기반하기 때문에 PriceOracle이 가격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실물상품 거래 시장의 운영 시간에만 가능합니다.
실물상품 기초 자산의 가격에 기반된 신규 합성자산이 발행되어 KLAYswap 으로 유통되면 결국 KLASYswap에서 거래되는 합성자산의 가격은 실물상품 기초 자산의 가격에 맞춰지게 됩니다.
합성자산 발행의 동기는 KLAYswap의 합성자산 가격보다 실물상품 기초 자산의 현재 가격이 낮을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합성자산 발행 행위는 숏포지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합성자산의 가격과 실물상품 기초 자산의 가격 갭이 크지 않다면 합성자산을 발행하고 KLAYswap의 KAI-합성자산 페어 풀에 유동성을 공급해서 보상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2.Kai synthetics burn(카이 합성자산 소각)
합성자산을 발행하면 동일 수량만큼 소각할 채무가 동시에 주어집니다. 합성자산 발행자는 언제든지 동일한 합성자산의 동일 수량을 Repay하면 합성자산은 소각되고 담보자산이 회복됩니다.
3.Kai synthetics trade/liquidity(카이 합성자산 거래 및 유동성 공급)
KLAYswap에 Kai Protocol에서 발행되는 다양한 합성자산들이 KAI와 페어되어 등록되며 누구나 자유롭게 합성자산들을 거래하거나 유동성을 공급해서 sKAI 발행기간 동안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합성자산 발행 외에도 KLAYswap 내 합성자산 거래를 위해 KAI가 사용되기 때문에 많은 KAI 사용성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KLAYswap을 통해 KAI-합성자산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실물상품 기초 자산에 투자한 효과를 가지며 동시에 보상을 통한 추가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KLAYswap을 통해 합성자산을 거래하는 행위는 낮은 가격에 매수해서 높은 가격에 매도하는 것을 목표로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롱포지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Governance
현재 sKAI는 확장 상태에 추가 발행되는 KAI를 보상으로 받는 증권 개념의 역할만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1 유지를 위한 등락 과정에서 KAI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sKAI 단일 예치의 동기 부여가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sKAI 단일 예치의 새로운 동기 부여를 위해 Kai Protocol 생태계의 보상 체계에 대해 여러분들의 투표로 결정될 수 있는 Governance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Cross-Chain
Kai Protocol의 시작은 Klaytn 생태계의 다양한 De-Fi 서비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이었습니다.
현재 KAI는 기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에 비해 안정적인 변동성으로 안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Buyback Fund 역시 꾸준히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2021년 4분기에는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에 준하는 수준의 안정성을 가질 수 있을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KAI의 스테이블코인으로서 꾸준한 안정성이 확보되고 Kai synthetics를 통한 사용성이 높아진다면 Klaytn 생태계를 넘어 Ethereum 기반의 Binance smartchain, Huobi eco chain 등으로 Kai Protocol 생태계를 넓혀 나가고자 합니다.
Other..
현재 PC 환경에서는 Kaikas wallet 연결만 지원하고 있으나 Klip wallet 사용자를 위한 QR connect 개발이 조만간 완료될 예정입니다.
마치며..
Kai Protocol은 아직 서비스가 시작된지 한 달이 안되었고 KAI의 유통량도 Klaytn 생태계 De-Fi의 유동성을 감당하기에는 적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라운드가 지속됨에 따라 유통량이 늘어나고 $1 안정성을 꾸준히 유지한다면 조만간 Klaytn 생태계 De-Fi 유동성을 감당할 수 있는 한 축을 담당하는 KAI가 될 수 있을것이라 믿습니다.
미래를 기다리기 보다는 한 발 앞서 Kai Protocol의 폭발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Kai Protool에 보내주시는 여러분들의 많은 성원에 보답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빠른 로드맵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