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 기반 최초의 스테이블 코인 ‘Kai Protocol’을 소개합니다.

Kai Protocol
7 min readJun 9, 2021

--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권과 융합되어가면서 법정화폐를 대체할 스테이블 코인의 관심이 잇따라 상승하였고 법정 화폐의 가치를 추종하는 스테이블 코인의 수요가 가중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담보물을 기반으로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은 변동성 측면 에서는 매우 안정적이나 발행 재단에서 물량을 전량 통제하기 때문에 유저는 재단에서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중앙화 시스템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이념에도 어긋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탈중앙화 방식의 스테이블 코인, 통화의 수요와 공급을 전적으로 시장에 맡겨 목표 가격을 유지하고 유저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이 출시되었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가격 안정성이 기존의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보다 낮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했습니다. KAI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재 Defi 서비스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된 프로젝트 입니다.

3세대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KAI를 여러분들께 소개 드립니다.

What is Kai Protocol?

Kai 프로토콜은 Basis Cash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에서 영감을 얻어 설계되었으며 Kai (KAI), Kai Shares (sKAI), Kai Bonds (bKAI) 토큰으로 구성된 다중 토큰 프로토콜 입니다.

Why is Kai Protocol different?

기존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대비 향상된 수요공급 알고리즘을 통해 KAI의 가격 안정화를 추구합니다.

Kai 프로토콜은 KAI-sKAI-bKAI 세개의 토큰이 KAI 토큰의 가격에 따라 공급과 수요를 조정하여 KAI가 목표가격인 $1 에 근접하게 유지되도록 설계 되었으며, 기존의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들이 스테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수요와 공급의 조정을 시장에 100% 맡긴 것과 달리 추가적으로 바이백펀드를 통해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에 준하는 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부터 Kai 프로토콜 토큰 정보와 기능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KAI

1. 초기 공급 : 300,000 KAI

2. 배포 기간 : 1주

3. 블록당 분배량 : 0.4960 KAI

Klayswap LP KUSDT/ KAI : 100%

토큰 컨트랙트 : 0xe950bdcFa4d1e45472E76cf967Db93dBfc51Ba3E

sKAI ( Kai Share )

1. 초기 공급 : 2,400,000 sKAI

2. 배포 기간 : 24개월

3. 블록당 분배량 : 0.03805 sKAI

  • Klayswap LPs KUSDT/KAI : 40%
  • Klayswap LPs sKAI/KLAY : 30%
  • Klayswap LPs sKAI/KSP : 30%

토큰 컨트랙트 : 0x37d46C6813B121d6A27eD263AeF782081ae95434

bKAI ( Kai Bonds )

토큰 컨트랙트 : 0x968D93a44B3eF61168CA621a59DDc0e56583e592

또한 Kai 프로토콜은 스테이블 코인 KAI의 $1에 준하는 가치 유지와 더불어 KAI Share(sKAI)와 KAI Bond(bKAI)를 통해 홀더들에게 수익 창출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라운드 주기에 따라 KAI 의 시간 가중 평균 가격을 확인하여 KAI 를 추가 발행할지, bKAI 를 발행할지 결정합니다. 이는 하루에 3회 이루어지며 추후 거버넌스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라운드 주기

  • 라운드 주기 : 8 시간
  • 라운드 진행 시간 : 08:00 (KST), 16:00(KST), 24:00 (KST)

확장 라운드

sKAI는 주식의 개념으로Kai Protocol 의 가치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확장 상태의 라운드 동안(TWAP-KAI의 시간 가중 평균 가격이 $ 1 USDT 고정보다 높을 때) Kai Protocol은 KAI 를 발행하고, Kai Protocol에 sKAI 를 예치한 모든 참여자에게 비례 분배합니다.

  • KAI 추가 발행량 = (시간 가중 평균 가격-1) * 30%
  • KAI 추가 발량의 10%는 팀 펀드로 적립되며 KAI 의 가격 안정화 및 마케팅을 위해 사용될 예정입니다.

축소 라운드

TWAP-KAI 의 시간 가중 평균 가격이 가 $ 1 USDT 아래로 떨어지면 bKAI가 발행되며 KAI와 bKAI 의 교환 비율은 1:1 입니다. bKAI 구매에 사용된 KAI 는 소각되어 순환 공급량(Circulating supply)에서 제외됩니다.

bKAI 보유자는 클레이스왑에서 bKAI-KAI 풀에 유동성을 공급함하면 sKAI 를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해당 보상 풀은 축소 상태일때 활성화되며 이때 KAI 에 대한 수요 발생을 통해 KAI가 빠르게 목표 가격으로 회복할 수 있게 됩니다. 가격 안정화 후 보유하게 된 sKAI를 프로토콜이 확장 상태일 때 스테이크 하여 더 많은 KAI를 획득할 수 있게 됩니다.‌

bKAI 에는 만료 날짜가 없으며 bKAI 보유자는 언제든지 상환해서 KAI 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다만, 현재 라운드의 기준 가격(TWAP)이 $ 1 USDT 보다 낮은 경우 10% 페널티를 지불하게 됩니다.

바이백 펀드

TWAP-KAI의 시간 가중 평균 가격이 $1 USDT 보다 높게 거래되어 확장 상태가 되면, KAI 가 추가 공급과 함께 아래 공식에 따른 KAI 를 추가 발행하여 바이백 펀드를 조성합니다.

  • 바이백 펀드를 위한 KAI 추가 발행량 = (시간 가중 평균 가격 -1) * 10%
  • 바이백 펀드를 위한 KAI 추가 발행량의 한도는 3%이며 해당 값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바이백 펀드로 조성된 KAI 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USDT로 변환하여 적립되며 TWAP-KAI의 시간 가중 평균 가격이 $1 USDT 미만일때 KAI 를 바이백하여 KAI 의 유통량을 감소시켜 가격을 안정화 시킵니다. 이때 바이백된 KAI는 소각됩니다.

사용 방법

Kai 프로토콜은 카이카스(Kaikas)와 클립(Klip) 암호화폐 지갑을 지원하여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출시와 함께 클레이스왑을 통한 에어드랍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Kai 프로토콜에 대해 알리고 초기 홀더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 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클레이스왑(KLAYswap)의 [KUSDT-KAI], [KLAY-sKAI], [KSP-sKAI]유동성 풀에 KAI, sKAI, KUSDT, KLAY, KSP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서 KAI, sKAI 보상을 받을수 있습니다.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자산 두 개를 모두 예치하거나, 한 개의 자산만 예치 할 수 있습니다.

Kai 프로토콜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그동안 글로벌 Defi를 힘겹게 사용하셨던 모든 유저분들은 KAI를 이용해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자산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Kai 프로토콜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통해 클레이튼 대표 스테이블 코인으로 자리매김하여 향후 디파이, 페이먼트, 자산의 보관 및 전송 등 클레이튼 생태계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KAI가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 드립니다.

Kai Protocol : https://kaiprotocol.fi

Official Telegram : https://t.me/kaiprotocol

Official Telegram announcement : https://t.me/kaiprotocol_channel

Medium: http://kaiprotocol.medium.com

Twitter : https://twitter.com/Kai_Protocol

Kai Protocol DOCs : http://docs.kaiprotocol.fi

--

--

No responses yet